Miscellaneous

중립에서 밑으로 한단 내리면 몇단입니까, 형님-?!!

서정화 2023. 1. 31. 12:06

중립에서 한단 내리면 당연히 1단이지! 하겠지만,

 

 

레이싱용 이륜차는 뱅킹 중에 발을 쳐올려서 시프트업을 하기 어려우니 변속 순서를 반대로 만든다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지요. 따라서 중립에서 한단 내리면 2단이지! 라고 대답하는게 참된 이륜차 인생의 자세이겠습니다.

 

2013년도 영상인데, 몇가지 요약하자면

1. 기어 변속 순서가 반대: 이걸 GP 시프트라고도 하는데, 많은 경우 기어 체인지 레버 링크를 어찌어찌 새로 배치해서 적용합니다. 근데 RS125는 레이스 변속용 시프트 드럼이 따로 있습니다. 참된 레이싱 레플리카!

2. 시프트레버 압력 감지- 점화 차단 방식의 퀵시프트. 요새 이륜차에 달려나오는거 맞습니다. 레이스 한번에 기어 변속을 500번 이상 한다니 퀵시프트 없으면 팔뚝이 남아나지 않겠지요. 실제로 MotoGP 선수들한테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는 악력을 많이 써서 발생하는 암펌프라는 건데, 당연히 오른손 앞브레이크 얘기겠지만 왼손도 클러치를 그렇게 잡아대면 두배로 아프겠지요.

 

 

퀵시프트는 시프트업때는 그냥 점화를 끊어서 동력이 빠지면 되기 때문에 싸제는 특별한 장비 없이 점화 라인에 묶여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시프트 다운은 RPM을 한번 올려줘야해서 ECU에서 스로틀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식 스로틀이 아니면 장착이 안되겠지요.

 

근데 막상 요새 motoGP 영상을 보면 출발할 때 기어를 아래로 밟습니다. 중립에서 한단 내리면 2단이라 했지 않습니까? 2단출발인가요? 할텐데, 이게 오늘 할 얘기.

 

 

2011년 혼다에서 '심리스'기어박스를 처음 적용한 이래로, MotoGP 오도바이용 기어박스는 일반 차량이랑 많이 달라졌습니다. 원래는 F1 기술이래나... 하는데 기본 아이디어는 기어가 항상 물려있다가 하나에서 구동력을 빼는동안 다른 하나에 구동력이 스르르 물리도록 하는 개념입니다.

구현하는 방식은 엔진이나 변속기 메이커마다 다르겠지만, 기어가 직접 축을 따라 밀려다니는 보통의 변속기랑 달리, 기어들은 모두 이가 맞물려있고(진정한 상시치합식!) 한 방향 회전만 가능한 깔깔이 타입의 링 두개가 기어 사이를 들어갔다나왔다 한다고 합니다. 자세한건 실물을 안봐서 저도 잘 모르겠지만...

 

기어가 항상 두개 물렸다는 점은 DCT랑 비슷한데 클러치 개입이 없다는 점은 DCT랑 다릅니다.

정확히는 샤프트 축 안에 장치를 넣어거나(혼다 특허), 베어링을 특수하게 만들었다거나(두카티 특허), Bullet ring을 단다거나(Zeroshift 변속기)해서 구현을 했고, 양산차에 들어가기에는 비용이나 내구성이나 자신이 없어서 아직 양산되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혼다 GP 레플리카였던 RC213V-S도 일반 변속기가 들어갔대나. 남들이 뜯고 맛보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도 있겠지요.

두카티에서 이제 양산차에 적용한다는 이야기는 있습니다만, 루머는 루머일 뿐.

 

 

이런 심리스 변속기의 장점으로는 변속 중에 클러치를 잡는 시간이 없어진다는건데(전자식 퀵시프트랑 다름)

아무래도 코너 앞에서 시프트다운을 하려다 보면 클러치가 들어가서 동력이 끊어졌다 이어지는 동안에는 오도바이 트랙션이 걸렸다 빠지면서 차량이 앞뒤로, 혹은 대가리가 솟았다 내렸다 하는 방향으로 동요를 할거고, 이게 차량 거동에 안좋은 영향을 줄겁니다. 그리고 시프트업에서는 변속 시간동안 클러치를 잡아서 동력 전달이 빠지면 가속이 느려지는것도 있고요. 이런 문제를 해결해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이게 초반에는 워크스팀만 쓰는 기술이라서 RC212V였나...하는 차량을 쓰는 커스터머 팀 성적이 안나오는게 심리스 기어박스를 혼다 워크스만 쓰고 보통 기어박스를 위성팀에 내줘서 그랬다는 얘기도 있었습니다. 

 

야마하에서는 이걸 따라했는데 기술이 안돼서 처음에는 시프트업만 구현했다는 후문이.

 

여튼 클러치가 안들어간다는게 DCT랑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근데 그놈의 중립은 어떻게?

요새는 (up) 1-2-3-4-5-6 (down) 기어박스에서 1단 위에 중립을 만들어 (up) N-1-2-3-4-5-6 (down)으로 씁니다. 그럼 신나게 다운시프트 해서 레버 쳐올리다보면 중립이 들어가 엔진 터짐 엔딩인가?

중립을 평소에는 막아두다가 정차시에만 중립 들어가게 열어주는 레버가 오른손 엄지쪽에 있습니다.

 

 

한줄요약: MotoGP에서도 중립에서 한단 내리면 1단입니다.

한줄 더: RS125에 GP스타일 기어 드럼을 넣는걸 심각하게 고민했지만...695랑 RS125랑 갈아타다가 기어변속이 헷갈리면 망할것 같아서.